10코스 천년사지길 (17.5㎞ / 4~5시간)
천년사지길은 말 그대로 남한강 주변 천년고찰의 흔적을 따라 법천사지와, 거돈사지를 거쳐 단강리까지 걸어가는 테마여행길이다. 법천 · 거돈사지는 폐사지이기에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이다. 들녘에 눈부시도록 빛나는 억새가 헌화 공양을 하고, 제 마음껏 피어난 들국화가 짙은 향기로 향(香) 공양을 올리는 그런 곳이다. 고려시대에 화려한 꽃을 피운 천년사지의 길을 따라 숲과 들을 걸을 때의 아늑함은 도보여행자들에게 포근함을 안겨준다.
코스 | 법천소공원 ➜ 법천교(0.7) ➜ 서원교(1.3) ➜ 법천사지(2.1) ➜ 서원교(2.3) ➜ 법천교(2.9) ➜ 매골교(3.5) ➜ 수영봉교(4.5) ➜ 양지말교(5.4) ➜ 벌말정류장(6.1) ➜ 퉁점교(6.7) ➜ 풍점고개(8.6) ➜ 거돈사지(10.4) ➜ 임도시점(11.3) ➜ 임도종점(13.2) ➜ 서지고개(13.6) ➜ 차단봉(15.1) ➜ 아래사기막정류장(16.7) ➜ 질골정류장(17.8) ➜ 사기막길86(18.6) ➜ 하부론정류장(19.5) | |||
---|---|---|---|---|
코스정보 |
▶ 난이도 ●●●● / 4~5시간 소요 ▶ 흙길과 포장길이 혼재된 길로 비교적 편하게 걸을 수 있으므로 운동화나 트레킹화 권유 ▶ 가파른 길은 없으나 8.0km~9.0km, 11.3㎞~13.6㎞ 사이에 약간의 오르내리막길이 있어 속도조절 필요 ▶ 식수·간식은 미리 적당량 준비. 출발지 인근에 편의점 있음 |
|||
교통편 | 시점 |
▶ AK플라자 ➜ 부론(안말) - 버스번호 : 55번 - 운영시간 : 05:40~19:55사이 수시 운행 ※ 버스터미널에서 AK플라자 정류장까지 도보 6분 ※ 부론(안말) 정류장에서 법천소공원까지 도보 6분 |
||
종점 |
▶ 하부론(미덕슈퍼) ➜ 시외·고속버스터미널 - 버스번호 : 31번 - 운영시간 : 05:50~20:10사이 수시 운행 |
|||
※ 원주시 교통정보센터 : http://its.wonju.go.kr/main/index.do 실시간 버스노선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.(2020년 12월기준) | ||||
숙박 | 상호명 | 전화번호 | 상호명 | 전화번호 |
부론여인숙 | 033)732-5029 | 부론장여관 | 033)732-6132 | |
캄스테이민박 | 033-732-2690 | |||
※ 코스 인근 숙박시설 현황 | ||||
식당 | 상호명 | 전화번호 | 상호명 | 전화번호 |
농부가 | 033)765-3279 | |||
※ 코스 인근 음식점 현황 | ||||
주변볼거리 | ![]() |
법천사지 사적 제466호로 신라말 고려 초기 크게 융성한 대표적인 법상종 (法相宗) 사찰터이다. 법천사지는 고려 문종 때에 지광국사가 머물면서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다. 임진왜란 때에 전소된 뒤 중창되지 못하고 폐사지가 되었으며, 현재는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지광국사탑비(국보 제59호)와 법당터 및 석탑의 일부 등이 남아 있고, 절터의 동편 산기슭에는 지광국사의 부도를 모셨던 탑전지가 남아있다. | ||
![]() |
거돈사지 사적 제168호로 신라 후기인 9세기경 처음 지어져고려 초기에 확장ㆍ보수되어 조선 전기까지 유지하며, 대찰의 면모를 이룩하였다. 약 24,800㎡ 의 절터에 있는 금당지에는 전면 6줄, 측면 5줄의 초석이 보존되어 있어 본래는 20여 칸의 대법당이 있었던 것을 추정할 수 있다. 절터에는 3층석탑(보물 제750호)와 원공국사승묘탑비(보물 제78호)가 있고, 원공국사승묘탑(보물 제190호)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. | |||
![]() |
단정(端亭) 원주시 부론면에 위치한 단강분교(폐교) 안에 있는 느티나무이다. 조선 제6대왕 단종(노산군)이 1457년 음력 6월 22일 창덕궁의 대조전에서 유배교서를 받고 돈화문을 나와 한강나루를 출발 뱃길을 따라 원주 흥원창까지 온 뒤 귀래로 가는 길에 이 나무 아래서 쉬어갔다 하여 단정이라 한다. 학교 내에 안내문에는 수령이 약 600년 되며, 강원도에서 가장 오래된 느티나무로 선정되었다고 한다. |